로버트 코헤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버트 코헤인은 국제 관계론 분야의 자유주의 학자이자, 신자유주의 제도주의를 대표하는 인물이다. 그는 조지프 나이와 함께 복잡한 상호 의존성 개념을 발전시켰으며, 헤게모니 안정성 이론을 비판하고 헤게모니가 없는 상황에서도 국제 협력이 가능함을 주장했다. 그는 스워스모어, 스탠퍼드, 하버드 등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했으며, 국제 기구 저널 편집장, 국제 연구 협회 회장, 미국 정치학회 회장을 지냈다. 주요 저서로는 '헤게모니 이후: 세계 정치 경제에서의 협력과 불화'가 있으며, 정치학 요한 스키테 상, 발잔 상 등을 수상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와스모어 칼리지 교수 - 김재권 (철학자)
한국 출신 미국 철학자 김재권은 심리철학, 형이상학, 인식론 분야에서 활동하며 심신 문제, 사건 및 속성에 대한 형이상학적 탐구, 비환원적 물리주의 비판에 기여했고 브라운 대학교 교수와 미국 철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 스와스모어 칼리지 교수 - 솔로몬 애쉬
폴란드 태생 미국 심리학자 솔로몬 애쉬는 사회 심리학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동조 현상 연구를 통해 동료 압력이 개인의 의견과 인식에 미치는 강력한 영향을 밝혀냈다. - 미국의 국제관계학자 - 아키라 이리에
아키라 이리에는 미국에서 태어난 일본계 미국인 역사학자로, 외교사에 문화적 관점을 통합하여 국제 관계 연구를 확장하고 미국과 동아시아 관계, 냉전 시대 아시아 등에 대한 연구로 학계에 기여했으며, '역사의 국제화'를 주장하며 국제사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 미국의 국제관계학자 - 로버트 길핀
로버트 길핀은 고전적 현실주의에 기반하여 국제 관계와 국제 정치 경제를 연구하고 국가 안보 이익을 강조한 미국의 정치학자로, 그의 연구는 후대 학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으며, 주요 저서로는 『국제 관계의 정치 경제』 등이 있다. - 브랜다이스 대학교 교수 - 엘리너 루스벨트
엘리너 루스벨트는 미국의 영부인이자 인권 운동가로서, 사회 문제 해결에 앞장서며 인권과 여성 권리 신장에 기여하고 유엔 인권위원회 의장으로서 세계인권선언 초안 작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 브랜다이스 대학교 교수 - 히로나카 헤이스케
히로나카 헤이스케는 대수다양체의 특이점 해소 정리 증명으로 필즈상을 수상한 일본의 수학자로, 여러 대학에서 교수를 역임하고 수학 교육에도 기여했다.
| 로버트 코헤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로버트 오언 코헤인 |
| 로마자 표기 | Robert Owen Keohane |
| 출생일 | 1941년 10월 3일 |
| 출생지 | 시카고, 일리노이주, 미국 |
| 국적 | 미국 |
| 배우자 | 내너를 오. 코헤인 |
| 학문 분야 | |
| 분야 | 정치학 |
| 세부 분야 | 국제 정치학 |
| 교육 | |
| 출신 대학 | 시머 칼리지 (학사) |
| 박사 | 하버드 대학교 (철학 박사) |
| 박사 지도 교수 | 스탠리 호프만 |
| 주요 제자 | 베스 A. 시먼스 헬렌 밀너 앤드루 모라브칙 |
| 경력 | |
| 직장 | 프린스턴 대학교 듀크 대학교 |
| 프린스턴 대학교 직함 | 명예 교수 |
| 주요 저서 및 업적 | |
| 주요 저서 | '헤게모니 이후' |
| 주요 논문 | '"국제 제도: 두 가지 접근법"' |
2. 생애 및 학력
로버트 코헤인은 시카고 대학교 병원에서 태어났다. 초등학교 5학년까지 시카고 대학교 부설 초등학교에서 교육을 받았다. 10살 때, 가족은 일리노이주 마운트 캐럴로 이사했고, 그곳 공립 학교에 다녔으며 부모는 시머 칼리지에서 가르쳤다.[5] 10학년을 마친 후, 코헤인은 1950년부터 고등학교 졸업 전에 선발된 학생들의 대학 입학을 허용하는 시머 칼리지 조기 입학 프로그램을 통해 시머 칼리지에 입학했다.[5]
로버트 코헤인은 스워스모어, 스탠퍼드, 브랜다이스, 하버드, 듀크에서 교수로 재직했다.[8] 하버드에서는 국제 평화 석좌교수였으며, 듀크에서는 정치학과의 제임스 B. 듀크 석좌교수였다.[8]
코헤인은 스워스모어, 스탠퍼드, 브랜다이스, 하버드, 듀크에서 가르쳤다. 하버드에서는 국제 평화 석좌교수였으며, 듀크에서는 정치학과의 제임스 B. 듀크 석좌교수였다.
1961년 시머 칼리지에서 우등으로 학사 학위를 받았다.[6] 스워스모어 칼리지 교수로 임용된 지 1년 후인 1966년 하버드 대학교에서 스탠리 호프만 교수의 지도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7] 그는 주디스 N. 슈클라를 대학원 시절 가장 강력한 지적 멘토로 묘사했으며,[9] 케네스 월츠와 칼 폴라니도 영향력 있는 인물로 꼽았다.[7] 코헤인은 현재 시머 칼리지 이사회에서 활동하고 있다.
3. 경력
1988~1989년에는 국제 연구 협회 회장을, 1999~2000년에는 미국 정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13]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미국 정치 사회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며, 구겐하임 펠로우십과 행동 과학 연구 센터 및 국립 인문학 센터에서 펠로우십을 받았다.[13] 2005년에 정치학 요한 스키테 상을 수상했으며,[13] 같은 해에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3] 2007년에는 미국 철학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3] 2012년, 코헤인은 하버드 대학교 100주년 기념 메달을 받았다.[15] 2014년, 그는 미국 정치학회로부터 제임스 매디슨 상을 받았다.[16] 2016년 발잔 상의 국제 관계: 역사 및 이론 부문을 수상했다.
그가 가르친 정치학자로는 리사 마틴, 앤드루 모라브치크, 레이나 모즐리, 베스 시몬스, 로널드 미첼, 헬렌 V. 밀너 등이 있다. 다른 제자로는 파리드 자카리아가 있다.[15]
4. 학문적 업적 및 이론
그는 많은 저서를 썼으며, 그중에는 ''헤게모니 이후: 세계 정치 경제에서의 협력과 불화''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 1984)가 있으며, 이 책으로 1989년 제2회 루이빌 대학교 그래마이어 상을 "세계 질서를 개선하는 아이디어" 부문에서 수상했다.[8]
코헤인은 미국의 국제 정치 경제학 분야 발전에 핵심적인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9]
코헤인은 국제 기구 저널의 초점을 국제 기구에 대한 학문에서 일반적인 국제 관계 저널로 전환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현재 이 분야의 선도적인 저널이다.[12] 그는 1968년에 이 저널에 참여했으며, 1974년부터 1980년까지 편집인이었다.[12]
그는 1988~1989년에는 국제 연구 협회 회장을, 1999~2000년에는 미국 정치학회 회장을 역임했다.
코헤인은 미국 예술 과학 아카데미, 미국 정치 사회 과학 아카데미의 회원이며, 구겐하임 펠로우십과 행동 과학 연구 센터 및 국립 인문학 센터에서 펠로우십을 받았다. 그는 2005년에 정치학 요한 스키테 상을 수상했으며, 같은 해에 미국 국립 과학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다. 2007년에는 미국 철학 학회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3] 그는 2005년 ''외교 정책'' 여론 조사에서 국제 관계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학자로 선정되었다.[14]
그가 가르친 정치학자로는 리사 마틴, 앤드루 모라브치크, 레이나 모즐리, 베스 시몬스, 로널드 미첼, 헬렌 V. 밀너 등이 있다. 다른 제자로는 파리드 자카리아가 있다.[15] 일본인 제자로는 이이다 케이스케(도쿄 대학 대학원 법학 정치학 연구과 교수) 등이 있다.
4. 1. 신자유주의 제도주의
조지프 나이와 함께 상호 의존론을 제창한 코헤인은 신자유주의 제도론의 입장에서 신현실주의와 활발한 논쟁을 벌였다.[9] 코헤인은 신현실주의의 주장 중 국가를 행위자로 간주하고, 국가가 생존을 위해 행동한다는 점은 수용하지만, 그러한 가정을 하더라도 국제 정치에서 경제와 규칙이 수행하는 역할은 크고, 협조도 가능하다는 것을 논했다.
코헤인은 1984년 저서 ''헤게모니 이후: 세계 정치 경제에서의 협력과 불화''에서 헤게모니 안정성 이론을 반박하며, 헤게몬이 없는 상황에서도 국제 레짐을 통해 국제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7] 국제 레짐은 국제 협력을 촉진하는 규칙, 규범, 의사 결정 절차의 집합체이다. 코헤인은 반복적인 상호 작용, 투명성, 모니터링을 통해 국제 협력이 지속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11]
4. 2. 복합 상호 의존성
조지프 나이와 함께 코헤인은 복잡한 상호 의존성이라는 개념을 만들었다.[9] 이는 국가 간 상호 의존성이 다층적이고 복잡하게 얽혀있는 현상을 설명하며, 경제 문제에서 권력 분산 및 확산을 보여준다.
4. 3. 헤게모니 안정성 이론 비판
로버트 코헤인은 1980년 논문에서 국제 시스템이 단일 국가가 세계를 지배하는 강대국, 즉 헤게몬일 때 더 안정적으로 유지될 가능성이 있다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해 헤게모니 안정성 이론이라는 용어를 제시했다.[10] 그러나 1984년 저서 ''헤게모니 이후''에서 신제도 경제학의 통찰력을 활용하여 헤게몬이 없는 상황에서도 국제 시스템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이 이론을 반박했다.[7] 그는 반복적인 상호 작용, 투명성, 모니터링을 통해 국제 협력이 지속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11]
5. 한국과의 관계 및 영향
로버트 코헤인은 조지프 나이와 함께 상호 의존론을 제창하고, 신자유주의 제도론의 입장에서 신현실주의와 논쟁을 벌인 국제정치학자이다.[1] 코헤인의 이론은 한국의 국제정치학 연구와 외교 정책에 큰 영향을 미쳤다.
5. 1. 한국 학계에 미친 영향
조지프 나이와 함께 상호 의존론을 제창한 로버트 코헤인은 신자유주의 제도론의 입장에서 신현실주의와 활발한 논쟁을 벌였다. 코헤인의 이론은 한국 국제정치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의 국제 관계 연구자들은 코헤인의 이론을 바탕으로 동북아 안보, 경제 협력, 국제기구 참여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다.[1]5. 2. 한국 외교 정책에 대한 시사점
로버트 코헤인은 국제 관계론 분야에서 자유주의를 대표하는 학자이다. 1970년대 조지프 나이와 함께 상호 의존론을 제창했으며, 이후 신자유주의 제도론의 입장에서 신현실주의자와 활발한 논쟁을 벌였다.[1]코헤인은 신현실주의에서 국가를 행위자로 간주하고 국가가 생존을 위해 행동한다는 점은 수용하지만, 그러한 가정을 하더라도 국제 정치에서 경제와 규칙이 수행하는 역할은 크고 협조도 가능하다는 것을 주장했다.[1]
코헤인의 이론은 한국의 다자 외교, 국제 협력 강화, 국제 레짐 참여 중요성을 강조한다. 특히, 동북아 지역의 복잡한 안보 환경 속에서 한국은 코헤인의 이론을 바탕으로 다자 협력을 통한 문제 해결을 모색할 수 있다.[1]
6. 저서
| 제목 | 출판사 | 연도 | 공동 저자 |
|---|---|---|---|
| 초국가적 관계와 세계 정치 (Transnational Relations and World Politics) |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 1972 | 조지프 나이 |
| 힘과 상호 의존: 전환기의 세계 정치 (Power and Interdependence: World Politics in Transition) | Little, Brown | 1977 | 조지프 나이 |
| 헤게모니 이후: 세계 정치 경제에서의 협력과 불화 (After Hegemony: Cooperation and Discord in the World Political Economy) |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 1984 | |
| 신현실주의와 그 비판 (Neorealism and Its Critics) |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 1986 | |
| 국제 기구와 국가 권력: 국제 관계 이론 에세이 (International Institutions and State Power: Essays in International Relations Theory) | Westview | 1989 | |
| 사회 탐구 설계: 질적 연구에서의 과학적 추론 (Designing Social Inquiry: Scientific Inference in Qualitative Research) | 프린스턴 대학교 출판부 | 1994 | 게리 킹, 시드니 버바 |
| 부분적 세계화 시대의 권력과 거버넌스 (Power and Governance in a Partially Globalized World) | Routledge | 2002 | |
| 인도적 개입: 윤리적, 법적, 정치적 딜레마 (Humanitarian Intervention: Ethical, Legal, and Political Dilemmas) |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 2003 | J. L. 홀즈그레프 |
| 기후 변화를 위한 레짐 복합체 (The Regime Complex for Climate Change) | 2010 | 데이비드 G. 빅터 |
7. 기타
그는 스와스모어 칼리지 조교수 시절 베트남 전쟁 반대 운동가였으며, 1968년 대선 후보 유진 매카시를 위해 선거 운동을 벌였다.[17] 내너럴 O. 코헤인과 결혼했으며,[18][19] 네 자녀(사라, 스테판, 조나단, 나다니엘)을 두고 있다. 내너럴 O. 코헤인은 듀크 대학교와 웰즐리 칼리지의 전 총장이자 저명한 정치학자이다.
참조
[1]
웹사이트
Robert O. Keohane
https://scholar.prin[...]
2020-09-30
[2]
웹사이트
CV: Robert Owen Keohane
https://scholar.prin[...]
[3]
웹사이트
TRIP AROUND THE WORLD: Teaching, Research, and Policy Views of International Relations Faculty in 20 Countries
https://www.wm.edu/o[...]
[4]
웹사이트
Open Syllabus Project
https://opensyllabus[...]
[5]
웹사이트
Early Entrance Program
https://web.archive.[...]
2012-04-08
[6]
웹사이트
Alumni Profiles: Robert Keohane
https://web.archive.[...]
2012-04-08
[7]
학술지
Understanding Multilateral Institutions in Easy and Hard Times
2020
[8]
웹사이트
1989- Robert Keohane
https://web.archive.[...]
[9]
서적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An Intellectual Histo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10]
서적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An Intellectual Histo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11]
서적
America's Global Advantage: US Hegemony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https://www.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12]
서적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An Intellectual History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8
[13]
웹사이트
APS Member History
https://search.amphi[...]
[14]
웹사이트
Coming Soon
https://foreignpolic[...]
2011-09-19
[15]
뉴스
Harvard Graduate School Honors Daniel Aaron, Nancy Hopkins, and Others
http://harvardmagazi[...]
2012-05-23
[16]
웹사이트
FACULTY AWARD: Keohane receives APSA's James Madison Award
https://www.princeto[...]
Princeton.edu
2014-09-12
[17]
학술지
Understanding Multilateral Institutions in Easy and Hard Times
[18]
뉴스
Duke's Ex-President and Her Husband Head to Princeton; Penn's Medical School Denies Tenure to 2 Bioethicists
http://chronicle.com[...]
The Chronicle of Higher Education
2004-10-29
[19]
뉴스
Keohanes to join Wilson School faculty
https://web.archive.[...]
2004-10-15
[20]
SSRN
The Regime Complex for Climate Change by David Victor, Robert Keohane :: SSRN
2010-07-20
[21]
웹사이트
The Regime Complex for Climate Change - Harvard - Belfer Center for Science and International Affairs
https://web.archive.[...]
Belfercenter.ksg.harvard.edu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